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피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

피아제는 사람들의 인지 발달이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네 단계를 거쳐 일어난다고 보았다. 인지발달의 첫 단계를 감각 운동기라고 부르는데, 0~2세의 아동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 아동들의 사고는 보고 듣고 움직이고 만지는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감각 운동기란 감각과 운동 활동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시기 동안 유아는 '대상 영속성'을 발달시킨다. 이는 물체가 자신의 지각 여부에 관계없이 환경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감각 운동기에는 대상들이 독립적이고 영속적인 존재라고 이해한다. 

 

전조작기는 2~7세의 이동들이 이에 해당된다. 아동이 전조작기를 거치는 동안, 물체에 대해 상징적 형태로 사고하는 능력의 발달은 일방적 논리를 사용하는 데 국한된다. 아동이 거꾸로 생각하거나 과제의 단계들을 어떻게 역전시킬지를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양의 보존과 같이 전조작기 아동이 하기 어려운 많은 과제들은 '가역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이는 구체적 조작기에 들어서야 가능해진다. 

 

또한, 전조작기 아동들은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있어서 이 세상과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자기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즉, '자기 중심성'이란 다른 사람들도 세상을 자신이 경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경험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피아제가 말하는 자기 중심성은 이기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아동들이 모든 다른 사람들도 자기 자신과 똑같은 감정, 반응, 관점을 갖는다고 가정한다는 것을 뜻한다. 

 

구체적 조작기는 7~11세의 초등학생에 해당된다. 피아제는 이 단계의 실제적인 사고를 기술하기 위해 '구체적 조작'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이 단계의 기본적 특징은 물리적 세계의 논리적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다. 즉, 구성요소들이 바뀌거나 변환된다 하더라도 원래의 특성들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깨달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화가 역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 조작기에서 숙달되는 중요한 사고는 '분류'이다. 분류는 한 무리에 속하는 물체들의 한 가지 특성에 주목하고, 그 특성에 따라 물체들을 묶는 능력에 달려 있다. 이 시기에 이루어지는 '분류'는 한 유목이 다른 유목에 속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다. 

 

형식적 조작기는 11세 이상의 학생들과 성인에 해당된다. 형식적 조작기에는 사고의 초점이 실제에서 가능성으로 옮겨 간다. 형식적 조작을 습득한 학생들은 사실과 배치되는 질문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 학생들의 대답을 보면 이들이 형식적 조작의 특징인 '가설 연역적 추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식적 사고를 하는 사람은 가설적 상황을 고려하여 연역적인 추론을 할 수 있다. 즉, 추상적인 문제에 대해 논리적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